티스토리 뷰

반응형

출처 : 뉴시스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의 임명을 둘러싼 ‘건국절 논란’이 최근 대한민국 사회에서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논란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먹고살기 힘든 국민들에게 무슨 도움이 되겠느냐"며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도 광복절 보이콧에 공감하기 어렵다고 말하며, 이 사안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반면, 광복회와 야당 6당은 광복절 경축식 불참을 확고히 하며, 김형석 관장의 임명 철회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의 입장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건국절 제정에 대해 언급하거나 추진한 적이 없으며, 그럴 계획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이종찬 광복회장에게도 여러 번 설명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민생에 도움이 되지 않는 건국절 추진에 나설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신지호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도 건국절 논란을 날조라고 일축하며, 이종찬 회장이 유령과 싸우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광복회의 반발

광복회는 김형석 관장의 임명을 두고 '이승만 정부 설립(1948년)을 건국절로 삼으려는 의도'라고 의심하고 있습니다. 반면, 대통령실은 건국을 특정 시점이 아닌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헌법에 입각해 1919년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948년 정부 수립, 산업화·민주화 등을 거쳐 미래의 남북통일 시점이 건국일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 뉴스1

정치권의 반응

더불어민주당은 김형석 관장의 임명을 '역사 쿠데타'라고 비난하며 철회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박찬대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강제동원 제3자 변제 발표, 홍범도 흉상 철거 추진 등을 독립운동을 지우고 친일을 미화하는 역사 쿠데타라고 비판했습니다.

반응형

우원식 국회의장도 긴급성명을 통해 대통령이 직접 이 문제를 해결하고, 건국절 추진 논란에 대해 정부를 대표해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우 의장 측은 대통령실의 입장을 보고 경축식 참석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결론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과 건국절 논란은 현재 대한민국 사회에서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정부와 정치권, 시민단체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은 민생에 도움이 되지 않는 건국절 추진에 나설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으며, 광복회와 야당은 김 관장의 임명 철회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논의와 조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