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출처 : 비즈워치

     

    용산전자상가,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로 '위기'

    국내 최대 전자상가인 용산전자상가가 최근 티몬·위메프의 미정산 사태로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 특히, 선인상가에 위치한 디지털·가전 총판 업체들은 현장 판매보다는 e커머스 플랫폼 판매와 기업 납품에 주력해왔기 때문에 이번 사태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한 경제적 손실을 넘어, 용산전자상가 전체의 운영과 신뢰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티몬·위메프의 최저가 경쟁과 그 여파

    올해 들어 티몬과 위메프는 쿠폰을 대거 뿌리고 최저가 경쟁에 나서면서 용산전자상가 내 플랫폼인 '다나와'보다도 더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일부 업체들은 전체 매출의 90%까지 티몬·위메프에 의존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피해가 더욱 심각해졌다. 이는 업체들이 특정 플랫폼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지난 29일, 기자가 찾은 선인상가는 황량한 모습이었다. 상점 앞에는 출고되지 못한 박스들이 쌓여 있었고, 많은 업체들이 강제 휴무에 들어선 상태였다. 일부 업체들은 급여를 줄 돈이 없어 직원들에게 무급 휴가를 주었으며, 미수금으로 인해 물량 유통이 막혀 폐업을 준비하는 곳도 있었다. 이는 단순한 경제적 손실을 넘어, 업체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을 나타낸다.

    출처 : 비즈워치

    소규모 업체와 대규모 업체의 피해 차이

    선인상가에서 소규모로 PC 주변기기를 판매하고 있는 A업체는 "우리는 e커머스와 거래를 하지 않아 큰 타격은 없지만, 총판 혹은 대규모 거래를 하는 업체들은 타격이 크다"고 말했다. 특히 그래픽 카드 전문 업체들은 객단가가 200만 원 이상의 거래가 많아 미수금이 100억 원 이상인 곳도 많다고 덧붙였다. 이는 규모에 따라 피해의 정도가 크게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수금 직격탄을 맞은 선인상가의 B업체 대표는 "우리는 티몬·위메프와 올해 들어 규모가 큰 거래를 해왔다. 이 때문에 직원도 2명 더 늘렸지만 지난 5월부터 쌓인 미수금만 80억 원이 넘는다며 파산 말고는 앞이 보이질 않는다"고 말했다. 이는 대규모 거래를 주로 하는 업체들이 이번 사태로 인해 특히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음을 보여준다.

    출처 : 비즈워치

    티몬·위메프의 마케팅 전략과 그 결과

    티몬·위메프는 판매액의 8%가량을 수수료로 가져가고, 9%를 쿠폰으로 지급하는 방식으로 원가로 팔아도 1%의 이익만 남는 마케팅 전략을 펼쳤다. 이로 인해 온라인 총판 업체들은 입점하게 되었고, 티몬·위메프에서 '핫딜', '타임딜' 등의 이름으로 공격적인 마케팅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마케팅 전략은 단기적으로는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업체들에게 큰 부담을 주게 되었다.

    정부 대책과 업체들의 요구

    B업체 대표는 "정부에서 대책으로 내세운 저금리 융자는 폐업을 지연시키는 정도이며, 큐텐에서 미정산금을 찾아 정산금의 70~80%라도 넣어줘야 폐업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단기적인 융자 지원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근본적인 자금 회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업체들은 정부와 관련 기관의 보다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용산전자상가의 이번 사태는 단순히 특정 기업의 문제가 아닌, 전체 전자상가와 그에 관련된 모든 경제 주체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건이다. 이를 통해 전자상가와 e커머스 플랫폼 간의 건전한 거래 환경 조성과 신뢰 회복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반응형